상황
처음으로 언리얼엔진 프로젝트로 레포지터리를 만들게 되었습니다.
하지만 언리얼 프로젝트로 깃허브는 처음 파보았기 때문에 어떻게 해야 하는지 잘 몰랐어요...
유니티랑 똑같이, UnrealEngine으로만 바꿔서 레포지터리를 만들어주면 되겠지~ 싶어서 그렇게 했고
언리얼 프로젝트를 생성을 하고 세팅까지 끝냈습니다.
그래서 지금까지 세팅한 것을 커밋 하고 푸쉬를 하려는데 저 오류가 떴습니다.
원인
원인을 찾기 위해 검색해본 결과,
보통 이 오류가 난 사람들을 찾아보면 Pull을 안 하고 Push를 한 경우인 협업에서 자주 볼 수 있었는데
나는 개인 프로젝트이고 Pull 받을게 없었습니다.
위 에러들을 읽어본 결과!!
결국 메모리가 부족하다는 이야기였습니다.
그럴 만도 한 게 이게 언리얼이기 때문에 메모리를 많이 잡아먹을 수밖에 없었습니다.
검색해 보았을 때, 이 에러가 나는 경우가 여러 가지인 것 같습니다.
찾아본 내용으로는
- 내 컴퓨터에는 존재하지 않는 파일을 푸쉬를 하려는 경우
- 메모리가 초과한 경우
두 가지를 찾을 수 있었습니다.
그 중 저는 2번째에 해당한다.
쨋든 이 에러를 해결하는 과정을 기록해보려고 합니다. (나중에 혹시 모르니까 ㅎㅎ)
해결
1. 내 컴퓨터에는 존재하지 않는 파일을 푸쉬하려는 경우
먼저 Pull을 받고 Push한다.
git pull origin master
git push origin master
2. 메모리를 초과한 경우
1. 아래 명령어를 Git bash(터미널)에다가 입력한다.
git config --global http.postBuffer 2097152000
⇒ 물론 저는 이래도 실패했습니다.
새롭게 mmap failed 에러가 등장했습니다.
2. 다시 아래 명령어로 재도전해본다.
git config --global pack.windowMemory 500m
⇒ 물론 또 실패했습니다.
3. 여기까지 왔으면,, 그냥 전 커밋을 취소하고 나눠서 조금씩 커밋하는 방법 밖에 남지 않았습니다.
🔨 결국 저는 작업한 내용을 따로 백업해 두고
내가 커밋하기 전 마지막 푸쉬한 것을 우클릭하여
브랜치를 '이 커밋까지 현재 브랜치를 초기화' 한 후
파일을 조금씩 다시 커밋했습니다...
오늘의 교훈
동영상이나 PDF 등 용량이 크고 불필요한 파일들은 가급적 올리지 않는 것이 좋겠다…
참고 자료
큰 도움을 주셔 감사합니다...
'개인 공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졸업작품에서 아쉽게 버려진 퍼즐 및 기믹들 정리 (0) | 2023.08.30 |
---|---|
DOBOO팀의 KWC 대회 본선 진출 (대전 탐방기) (2) | 2023.08.30 |
Tistory 안들어가지는 버그 HTTP ERROR 400 (0) | 2023.05.03 |
2023-01-19 개발 일지 (0) | 2023.01.19 |
댓글